신혼부부 3년 안에 1억 만들기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김땅니입니다.🙋🏻♀️
글에 앞서 저희 가족 소개를 먼저 할게요.
30대초반의 결혼 2년차 신혼부부
부부 월급 500만원
25평 신축아파트 전세 거주중
현재 아이는 없지만 생각 있음
저희 가족의 중단기 목표에요.
34평 아파트 매매
3년 안에 1억 모으기
2023년 새해가 밝았으니
1년 저축플랜과 돈 계획표를 세워보려고 합니다.
저축플랜? 가계부?
처음 시작하려고 하면 너무나 막막한 단어입니다.
30년을 살면서 가계부를 한 번도 쓰지 않았던 저도
어떻게 가계부에 접근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았습니다.
저는 회사 도서관에 가서
2030 파이어족을 위한 밍키언니의 돈 계획
호호양의 미니멀 재테크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제목만 들어도 자신감이 생기는 책들을 대여했습니다.
모든 책의 핵심은
“절약하는 소비습관을 만들고, 투자 공부를 하면서 기본기가 잡힌 재테크를 하라”였습니다.
그래서 저희 부부는 어떻게 계획을 세웠을까요?
앞으로는 👩🏻땅니 👦🏻뀨니로
저와 남편의 호칭을 정리하겠습니다.
1. 고정지출, 변동지출 파악하기
👩🏻땅니의 월급날은 20일,
👦🏻뀨니의 월급날은 21일입니다.
고정지출을 파악해보면 이렇습니다.
👩🏻
통신요금 ₩33,000원
개인연금 ₩100,000원
청약통장 ₩100,000원
보험료 ₩110,000원
식비 ₩200,000원
👦🏻
보험료 ₩130,000원
주유비 ₩250,000원
식비 ₩100,000원
👩🏻&👦🏻
통신요금 ₩40,000원
공과금(전기) ₩130,000원
공과금(가스) ₩50,000원
넷플릭스 ₩10,800원
쿠팡 월회비 ₩5,000원
매월 125만 원이 고정지출입니다.
변동지출은 사실 너무나 많죠.
외식비, 의복비, 미용비, 경조사비, 휴가비 등등
변동지출은 매달 상이해서 이번 달부터 열심히 가계부를 적어보려고 해요.
2. 원칙과 계획 세우기
원칙은 불필요한 소비를 참기 위해 어느 정도는 필요한 것 같아요. 너무 강박적으로 한다면 다이어트처럼 절약요요가 오기 때문에 실천 가능한 범위에서 세웠어요.
▪️외식은 주말에만 하자!
평일에는 집밥, 냉털하기
▪️옷 사기 전 옷장 정리하기
▪️무지출데이를 만들고 실천하기
이 세 가지 원칙만큼은 꼭 지키려고 노력할 거예요.
3. 저축플랜 세우기
저축플랜을 세울 때 보통 재무설계사가 추천하는 가장 이상적인 지출, 저축의 비율은 이렇습니다.
생활비 30%
목적자금(예금, 적금, 펀드, 주식) 40%
은퇴자금 (연금, 보험) 20%
리스크관리 (보장성보험) 3%
여유자금 N%
저희 부부의 월급 530만 원에 대입해 보면
생활비 159만 원
목적자금 212만 원
은퇴자금 106만 원
리스크관리 15만 9천 원
여유자금 37만 1천 원으로 정리가 됩니다.
생활비에서 고정지출비용인 125만 원을 제외한
금액이 문화비를 포함한 공용생활비로 사용될 것이고요. 1-2년 안에 집을 매매할 생각이 있기 때문에 은퇴자금대신 목적자금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월급 530만 원
고정지출 125만 원
생활비 35만 원
개인용돈 10만 원씩
여유자금 20만 원
저금 330만 원
이렇게 1년의 대략적인 저축플랜을 세워보았습니다.
쉽지만은 않겠지만
앞으로 매일매일 가계부를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는 무리하지 않고 무지출 Day를 차츰 늘려가는 방식으로 저축습관을 키워보려 해요.
또한, 한 달 단위로 예산을 세우고 정한 예산을 지켰는지 반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해요.
1월 예산편성으로 돌아올게요.
버는 것보다 적게 쓰는 법을 알면
현자의 돌을 가진 것과 같다.
벤자민 프랭클린
'가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logue. 2년차 신혼부부 돈 관리는 어떻게? (3) | 2023.01.06 |
---|